공양간 노란문이 열리면

함영 지음 / 참글세상

“절에서 먹는 밥은 초라한 음식일지라도 성찬같고 감칠맛이 더하다. 공평하게 나눠먹는 밥에는 담백하고도 달착지근한 평안의 맛이 배어있다. 달라이라마의 법문이 있는 날, 남걀사원에서 먹는 아침 밥맛은 특히 그러하다. 법문을 듣기 위해 모인 중생들은 법문시간 중에 똑같은 차와 빵을 나눠먹는다. 더없이 평등하고 평화로운 식사가 아닐 수 없다. 그러니 공양간 노란 문이 열리는 날, 남걀사원에 간다면 부디 잊지 말고 밥을 꼭 챙겨먹어 볼 일이다.”

저자 함영 씨는 흥미롭게도 수행공간의 음식을 소재로 끌어들인다. <공양간 노란문이 열리면>은 ‘삼례’라는 인물을 통해 수행자들의 먹거리를 찾아다니며 특별한 음식과 살림살이를 찾아가고 있다. 많고 많은 여행지 가운데 어째서 공양간일까. 저자는 밥 속에 ‘삶’이 있고 인생의 지혜가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해준다.

인도 다람살라에서 만난 버터차에도 구도의 의미가 들어있다고 말한다. 달라이라마의 관저가 있는 다람살라 남걀사원에는 행사가 있는 날에만 열리는 공양간이 있다. 절을 찾은 순례객들을 대접하기 위해 공양간 식구들은 새벽 3시부터 모여 빵을 굽고 차를 끓인다.

수행음식 소재로 글 쓰는

여행가의 공양간 이야기

차 한 잔 밥 한 그릇…

사람 인연만큼 소중해

공평하게 나눠먹는 밥에

담백한 평안의 맛 있어

적게는 수백 명부터 수천 명 분량의 밥을 짓기 위해 공양간에 모인 18명의 처사들은 팀을 이뤄 의기투합한다. 가장 단순해 보이는 듯해도 중책을 맡은 팀이 바로 차를 끓이는 사람들이다. 장정 두어 명이 너끈히 들어가고도 남을 커다란 솥단지에 고소한 버터차와 달콤한 짜이차를 끓인다. 저자는 이곳 팀장인 도찌 할아버지의 차 젓는 솜씨가 가히 예술적이라고 소개했다.

“작은 스테인리스 바가지로 솥 안의 차를 공중으로 높이 떠올리면서 낙하하는 식으로 차를 휘젓는다. 그런 과정 속에서 차를 맛있게 끓이려는 도찌 할아버지의 일념과 텅 빈 듯 충만한 공기의 맛이 혼연일체로 어우러져 차 맛은 한층 깊고 뜨거워진다. 말 한마디 통하지 않지만 그 작은 행위에 깃든 무언의 힘으로 묵직한 정과 위안을 얻는다.”

미얀마 명상센터에서는 신통방통한 ‘망상 퇴치법’을 배우기도 했다. 물론 처음부터 쉽게 되진 않았다. 사람들에 대한 원망과 분노로 뒤엉켜 일어난 망상이 성성했다고 한다. 먼저 자기 자신을 위해 기도했다. ‘내가 위험에서 벗어나기를, 정신적 육체적 고통으로부터 벗어나기를, 건강하고 행복하기를’.

이같은 방법으로 모든 존재들을 향해 기도했다. 자신에게 상처와 고통을 준 이들을 향해서도 자애심이 일어나도록…. 해가 기울어질수록 이렇게 앉아 스스로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에서 경이로움을 느꼈다고 저자는 고백했다.

일본 선종사찰 부코쿠지(佛國寺)에 가면 정성으로 지어낸 밥맛이 꿀맛이다. 사진은 공양 준비하는 스님들. 사진제공=참글세상

1500년대 지어진 일본 선종사찰 ‘부코쿠지(佛國寺)’ 풍경과 음식을 소개한 장면도 흥미롭다. 낡은 진열장과 누렇게 때가 탄 플라스틱 쟁반, 한쪽 손잡이가 떨어져나간 보온병과 검게 그을린 주전자, 곰팡이자국이 남아있는 이불 등 번듯한 세간은 찾아보기 힘들었지만 검박한 아름다움이 배어있다.

참선방은 정갈하고 고요하기 그지없다. 유명한 선종사찰의 명성과 걸맞지 않아 보이는 남루한 살림살이도 왠만한 집에서는 진작 내다버렸을 법한 세간들도 이곳에선 귀하지 않은 것이 없다고 저자는 말한다.

화합과 정성으로 지어낸 밥맛도 꿀맛이다. 죽이나 잡곡밥에 된장국, 매실장아찌, 절인 무를 기본으로 채소요리 정도가 전부지만 이곳에선 성찬이 된다. 수행자는 밥을 보다 나은 수행을 위한 약으로 여기는 까닭에 저자에게도 이곳 사찰에서 먹는 밥은 남다르게 다가왔다.

소식을 원칙으로 하는 공양이 고역이었지만 삶은 더욱 풍요로워졌다고. 저자는 “내가 서있는 자리가 의외로 감사해야할 자리라는 걸 자신들의 삶을 통해 조용히 일러준 사람들에게 고맙다”며 “인생에서의 재회가 물 흐르듯 이뤄질 수 있었던 데는 차 한 잔, 밥 한 그릇의 공이 크다. 그래서 밥은 사람만큼이나 소중하다”고 밝혔다.

<스님들의 소박한 밥상>, <알콩달콩 공양간>, <스타들의 소박한 밥상>, <밥상만사>, <곰탕에 꽃 한 송이> 등 음식과 관련된 책을 여러 권 선보인 저자는 <인연으로 밥을 짓다>로 대한민국 출판문화상을 받았다. 저자는 글짓기가 고행이 아닌 낙(樂)이 될 때까지 글짓기로 곰탕을 끓여 꽃을 꽂을 참이라고 한다.

[불교신문3070호/2014년12월27일자] 

저작권자 © 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