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동양학연구원 연찬회

불교경전 한글화 작업을 통해 호남불교를 일으켰던 현공 윤주일 법사(1895~1969)를 조명하는 자리가 열렸다. 한국동양학연구원(원장 이동호)은 지난 11월22일 ‘현공묵암 선사의 경륜과 사상’이란 주제로 3차 학술연찬회를 개최했다.

이날 학술연찬회에서는 이동호 한국동양학연구원장과 김경집 진각대 교수, 오광익 시인, 이병욱 고려대 강사, 양은용 한일문화연구원장이 나선 가운데 현공의 제자인 전주 정혜사 주지 지섭스님과 전주 관음사 주지 법기스님 등이 참석했다.

첫 번째 연구발표에 나선 김경집 진각대 교수는 ‘유점사 평양포교당과 현공묵암선사’라는 논문에서 “현공은 1918년 평양포교당에서 활동한 이후 1947년 영명사에서 반야심경 강설 후 남쪽으로 내려왔다”며 “20대의 청년에서 50대 장년까지 30여년을 보내며 가장 활발히 활동했지만 현존하는 평양활동에 대한 기록은 설법집에 있는 내용과 자필이력에 전하는 것이 전부”라고 설명했다.

오광익 시인은 ‘현공묵암 선사의 행찬’이라는 발표에서 현공의 행장을 10수로 표현하면서 “현공은 사상에서나 행동에서나 보기 드문 선각자로 살았다”면서 “금강산 유점사에서 용맹정진한 것은 그의 바른 수행에 기인한다”고 말했다.

양은용 한일문화연구원장은 ‘현공묵암선사의 대중불교사상-대중불교 입교문답을 중심으로’라는 연구 논문을 발표했다. ‘대중불교 입교문답’은 현공이 1947년 평양에서 남하해 최초로 집필한 저술이다.

양 원장은 “반야심경 강의가 불교교리의 구체적인 체계로 전문 수양인을 위한 것이라면 입교문답은 현대사회에서 불교의 활성화를 꾀한 대중 불교운동의 실천지침서라는 성격을 띤다”면서 “대중이 상용하는 용어와 불교 이미지, 교리내용, 생활 속에서 실천하는 방법 등을 문답을 통해 풀어나가고 있다”고 덧붙였다.

현공 윤주일 법사는 강진 출신으로 1916년 서울 대각사에서 용성스님을 은사로 출가했다. 이후 1946년까지 30여년 평양에서 항일운동과 불교 대중화에 힘썼으며 한국 최초의 포교단체인 평양불교청년회를 창립하고 평양포교당을 설립하기도 했다. 1952년부터는 광주에 머물며 호남불교 중흥에 혼신했다.

[불교신문3064호/2014년12월6일자] 

저작권자 © 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