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한편 떠먹는 삼국유사

윤병욱 편저 / 화담

신라 24대 진흥왕이 즉위한 14년(553) 2월. 장차 용궁 남쪽에 대궐을 지으려 하니, 황룡이 그곳에 출연하여 이것을 고쳐서 절을 삼고 이름을 황룡사라 했다. 569년에 이르러 담을 쌓아 17년만에 완성했다. 그 후 바다 남쪽에 큰 배 한척이 나타나 하곡현 사포(지금의 울주 곡포)에 닿았다. 그 배를 검사해보니 다음과 같은 공문이 있었다.

“서축(인도) 아육왕이 누른 쇠 5만7000근과 황금 3만푼을 모아 장차 석가모니의 존상 셋을 주조하여 만들려다가 뜻을 이루지 못해서 배에 실어 바다에 띄웠습니다. 그러니 부디 인연있는 나라에 닿아 장육존상을 이루어주기를 축원합니다. 또한 한 부처와 두 보살상의 모형을 더불어 실었으니 장육존상을 만들 때에 참조하길 바랍니다.”

하곡현의 관리가 이 문서를 왕에게 보고했다. 왕은 사람을 시켜 그 고을 동쪽의 높고 정갈한 땅을 골라 먼저 동축사를 세우게 했다.

교사출신 편저자 쉬운 해설

하루 한편 귀에 쏙 들어와

정리ㆍ심화편…한눈에 이해

그리고 세 불상을 안전하게 모시도록 했다. 금과 쇠는 서울로 보내어 574년 3월에 장육존상을 주조했는데, 단 한번에 이루어졌다. 불상에 주조된 뒤에 동축사의 삼존불도 역시 황룡사로 옮겨서 안치했다.

그 후 전쟁으로 인한 화재가 있었고 큰 불상과 두 보살상은 모두 녹아 없어졌고, 작은 석가모니부처님상만 남아있을 뿐이다. 이를 찬양하니, “세상 어느 곳인들 참된 고향이 아니랴만, 불공을 드리기에는 우리나라가 으뜸일세. 아육왕이 할 수 없었던 것이 아니라, 월성 옛터를 찾느라고 그랬던 것일세.”

<삼국유사> 탑상편에 실린 위와 같은 내용을 저자는 현재 경주 황룡사지에 남아있는 장육존상의 자취와 당간지주의 사진과 함께 보여준다.

1500년 전의 자취가 남아있는 듯, 황룡사지에 서면 마음이 설렌다. 불교신문자료사진

백제나 고구려의 시달림으로부터 벗어나 영토를 확장하여 한강 지역까지 점령하는 등 강건한 고대국가의 모습을 갖추어 나가던 신라의 전성기에 조성된 황룡사는 토착신앙과 불교의 사상통합과 융화를 통해 민심안정과 국가적 대사에 대한 강한 충성심을 끌어낼 수 있었으리라.

평생 교직에 몸담고 있다 뒤늦게 시문단에 들어선 편저자 윤병욱은 <삼국유사>를 두고, “암흑같았던 우리의 상고시대 역사를 밝힌 등대같은 사서”라고 했다.

그는 “삼국유사의 수집자료는 일연스님이 평생 전국을 돌아다니면서 직접 보고 들은 생생한 이야기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며 “그렇기에 삼국유사에서는 현재 소멸되어 검증하기 어려운 것들, 즉 전국 각지에 산재했던 비석 등에 남아있는 금석문과 향토자료를 비롯 현지 고유의 풍속과 신앙, 토착씨족의 계보와 지명의 기원, 토속어와 민요 등을 확인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삼국유사>는 총 5권9편140여 조목으로 나뉘어 있는데,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왕력편’은 중국의 연대와 대조한 삼국 및 가락국의 약력을 기록했고, ‘기이편’은 신화와 설화를 중심으로 신비롭고 기이한 역사를 기록했다. 불법을 일으킨 고승들의 이야기를 담은 ‘홍법편’, 사찰 탑 불상 등의 유래를 다룬 ‘탑상편’, 부처와 고승들의 가르침을 실은 ‘의해편’ 등으로 나뉜다.

이번 책은 청소년들도 알기쉽게 삼국유사에 접근할 수 있도록 편집했고, 삼국유사의 완벽한 이해를 돕기 위해 정리편과 심화편도 수록했다.

[불교신문3062호/2014년11월29일자] 

저작권자 © 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