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과 종교

백중현 지음 / 인물과사상사

대통령과 종교는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를 맺어왔다. 대표적 종교가 개신교다. 개신교는 이승만ㆍ박정희ㆍ전두환ㆍ노태우ㆍ김영삼 때까지 정권과 밀착 관계를 맺으며 몸집을 키운 권력의 수혜자였다.

1987년 대통령 직선제 이후 종교는 권력을 창출할 수 있는 강력한 정치적 세력이 됐다. 김영삼과 이명박 장로 대통령에서 보듯 개신교는 기독교 대통령을 만들기 위해 총력전을 펼쳤다. 종교가 대통령을 만들 수 있는 ‘권력’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줬다고 저자는 말한다.

1948년 5월31일 제헌국회 개회 당시 이승만은 하나님에 대한 기도로 역사적인 첫 회의를 시작했다. 한국을 ‘완전한 예수교 나라’로 만들겠다던 이승만은 친 개신교적 정책을 펼쳤다. 첫 국회의원 선거가 ‘일요일’(1948년 5월9일)이라는 이유로 다음날인 5월10일로 연기했다.

박정희는 개신교의 도움이 절실했다. 정권 기반이 취약했기 때문에 정권 유지를 위해 반공 이데올로기에 의지해야했다. 개신교는 미국인 선교사와 오랜 네트워크로 미국과 상당한 인맥을 갖추고 있었고, 뿌리 깊은 반공 이데올로기에 젖어 있었다.

이승만 박정희 시절부터

현재 박 대통령까지

권력과 기독교 관계 추적

반공은 개신교와 군사독재정권이 밀월 관계를 형성할 수 있었던 끈이었다. 반공은 군사독재정권에 힘과 명분을 실어주었고, 개신교 역시 반공을 외치며 정권과 가까워졌다. 개신교는 5ㆍ16쿠데타 직후 환영 성명을 발표하기까지 했다. 반면 불교계는 신군부에 비협조적이었다.

신군부가 요청한 ‘전두환 지지성명’을 거부했는가 하면, 5ㆍ18광주민주화운동에 대한 진상을 파악하기 위해 광주로 조사단을 파견하기도 했다. 그러자 전두환은 ‘불교계 정화 수사계획’이라는 이름하에 불교계 최대 수난으로 기록되고 있는 10ㆍ27법난을 일으켰다. 군경 병력 3만2000여명이 전국 5000여개 사찰을 수색해 스님들과 불교계 인사들을 연행했다. 이로 인해 불교계가 입은 타격은 말할 수 없이 컸다.

제17대 대통령 선거에서 개신교는 ‘이명박 장로 대통령론’을 거론하며 이명박 장로를 대통령으로 만들기 위해 총력전을 벌였다. 결국 개신교계의 전폭적인 지지에 힘입어 선거 역사상 최대 표 차이로 당선됐다.

박근혜 정부 역시 개신교인을 중용하면서 이른바 ‘교회 인맥’이 또 다시 부상했다. 현 정부에서는 ‘사랑의교회 인맥’이 주목받았다. 이 때문에 항간에는 소망교회 ‘지고’, 사랑의교회 ‘뜨고’라는 말이 회자되기도 했다. 청와대 수석비서관 12명 중 개신교인은 8명에 달했지만 불교와 천주교는 1명도 없었다.

이 가운데 특히 주목을 받은 개신교인 국무위원은 정홍원 국무총리와 황교안 법무부 장관이다. 정 총리는 기독교대한감리회의 유지재단 변호사와 기독교계 로펌인 법무법인 로고스에서 활동해왔다. 황 장관은 실제 개신교 ‘전도사’다. 2012년에는 개신교 입장에서 법을 설명하는 <교회가 알아야 할 법 이야기>를 출간했다.

종교 전문지 기자를 지낸 저자 백중현은 “개신교는 보수 세력의 어설픈 정치 실험으로 우리사회에서 ‘권력화 된 이익집단’으로 내몰리게 됐다”며 “개신교를 비롯한 종교가 갖는 위력은 권력과의 표면적 관계만을 갖고는 설명되지 않는 부분이 있다. ‘종교와 권력’에 대한 활발한 논의가 시작됐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불교신문3062호/2014년11월29일자] 

저작권자 © 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