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국 원장, 고산문화재단 세미나서 주장

세계기록문화유산인 고려대장경 목판이 강화도가 아니라 남해에서 만들어졌다는 주장에 힘이 실리고 있다. 지금까지는 대장경이 강화 선원사에 있는 ‘대장도감’에서 제작된 것으로 알려졌지만 ‘대장도감’과 남해에 있는 ‘분사 대장도감’이 같은 장소라는 주장이다.

박상국 한국문화유산연구원장<사진>은 고산문화재단과 남해군이 지난 8일 국회 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열린 ‘남해 고려대장경 판각유적지 원형복원을 위한 정책개발 세미나’에서 이같이 밝혔다.

박 원장은 이날 ‘고려대장경 판각성지, 남해’를 주제로 한 발표를 통해 “선원사는 고종32년(1245년)에 창건돼 그 다음해인 고종 33년(1246년)에 진명국사가 주지로 부임했던 사찰”이라며 “그러나 이때는 이미 대장경 판각이 90%이상 완료된 때이었으므로 대장경 판각과는 전혀 관계가 없던 곳”이라고 주장했다.

또 “공민왕 9년(1360년) 윤5월에 ‘왜가 강화를 노략질하면서 선원사와 용장사로 침입해 300여명을 살육하고 쌀 4만여 석을 약탈했다’는 기록으로 봐서 만일 대장경판이 선원사에 있었다면 무사할 수 있었겠느냐”고 밝혔다.

이날 박 원장은 “당시 몽고 침입으로 정부가 강화도로 피난을 가면서 전국토가 안심할 수 없었는데 남해는 섬이기 때문에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었고, 무엇보다 지리산과 섬진강을 이용해 판각용 목재조달이 용이했다”며 “최우와 정안에 의해 대장경 판각경비를 조달할 수 있는 유일한 곳이었다”고 강조했다.

박 원장은 “그동안 대장경 판각 장소가 강화도에 있는 선원사라 잘못 알려져 오면서 많은 오류를 범했다”며 “조선왕조실록 태조7년에 임금이 강화 선원사에서 옮겨 온 대장경을 보러 용산강에 행차했다는 기록으로 인해 고려 대장경은 선원사서 판각했고 그때까지 보관했다고 알려져 왔다”고 지적했다.

또 “그동안 학계에서 정설로 통용된 것처럼 대장도감은 강화 선원사에 설치됐고, 분사대장도감은 남해 등에 설치됐다면 어떻게 한 개 경전을 강화와 남해로 왔다 갔다 하면서 판각할 수 있었는지 상상할 수 없다”며 “남해는 고려국의 분사가 설치됐던 곳이고, 대장도감 분사가 아니라 대장도감이 있었던 곳이었다”고 강조했다.

앞서 고산문화재단 이사장 영담스님은 개회사에서 “그간 연구 성과를 살펴보면 고려대장경이 일부이든 전부이든 남해군에서 판각됐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라며 “유적이 발견된 남해군의 판각지부터 먼저 복원을 하는 것이 합리적인 순서”라고 밝혔다. 

[불교신문3050호/2014년10월18일자] 

저작권자 © 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