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계종 “사찰 존재 배제한 복원사업 전면 재검토 돼야”

도봉구가 역사문화 자원 개발을 위해 추진해온 도봉서원 복원 사업이 전면 보류됐다.

도봉구는 2016년까지 총 45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서원 복원을 마무리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현재 이 사업은 전면 중단된 상태다. 지난 8월28일 열린 서울시 건축분과 문화재위원회 심의에서 사업 부결결정이 내려졌다.

서울시 역사문화재과 관계자는 23일 “복원을 하려면 건물지가 정확하게 도봉서원 자리임을 밝힐 수 있는 객관적인 자료가 있어야 하는데 아직까지 충분한 유구가 나오지 않았다”며 부결사유를 설명했다.

도봉구가 문화재청의 허가를 받아 지난 2012년 5월부터 9월 초까지 유적의 정확한 성격을 파악하기 위해 발굴조사 작업을 시행한 것도 이 때문이다.

그런데 이 발굴조사에서 불교유물 77점이 대거 출토됐다. 불교 유물 가운데 금동제 금강저와 금강령은 고려 금속미술의 높은 수준을 보여주는 ‘보물급’으로 꼽히고 있다.

특히 발굴 유물들을 통해 도봉서원이 ‘영국사’라는 절터에 세워졌고 사찰의 일부 건물 또는 기단을 활용했다는 사실도 함께 드러났다. 조선시대 숭유억불 정책으로 원래 사찰이 있던 자리에 서원을 조성한 역사적 사실이 밝혀진 것이다. 서울문화유산연구원 발굴조사단도 8월26일 기자간담회에서 “서원터에서 출토된 유물들이 이 지역에서 불교가 매우 번성하였음을 알려주는 중요한 자료”라며 “화려하고 뛰어났던 고려시대 금속 기술의 정수를 보여주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서울시 관계자는 “불교 유물이 나온 건물지도 유적으로서의 가치가 있다고 판단해 도봉서원으로서 복원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고 결정했다”고 밝혔다.

불교계는 “도봉서원 복원 사업은 전면 재검토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조계종 총무원은 8월27일 도봉구에 공문을 보내 “도봉서원 터는 ‘영국사’터이며 출토된 유물로 보아 문화재적 가치가 매우 높아 보존할 필요가 있음이 분명하다”며 “영국사 터는 아직 유적 성격이 명확하지 않을 뿐 아니라, 서원 건립을 이유로 폐사된 점에서 조선시대 불교탄압을 보여주는 상징이기도 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복원에 앞서 추가 발굴 및 연구조사가 선행돼야 한다”며 “영국사와 도봉사의 존재를 배제한 도봉서원 복원 사업은 전면 재검토 돼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도봉서원은 1573년 정암 조광조(1482~1519)를 추존하기 위해 옛 영국사(寧國寺) 터에 창건됐다. 임진왜란으로 전소했다가 1608년 중건된 후 1871년 서원철폐령으로 헐어내기까지 약 260여 년 간 유지됐다.

저작권자 © 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