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박물관, 국보급 기증유물 공개

‘경전을 보관했던’ 고려 나전경함 앞면. 아래 작은 사진은 주 무늬인 모란당초문을 세부 확대한 것.

우리나라에서는 볼 수 없었던 국보급 유물 한 점이 일본에서 돌아왔다. 국립중앙박물관(관장 김영나)은 지난 15일 고려시대 공예예술의 진수를 보여주는 나전경함(螺鈿經函)을 국립중앙박물관회(회장 김정태)로부터 기증받아 공개했다. 고려 나전경함은 세계적으로도 희귀한 예술품이다. 이제까지 확인된 것은 8점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본, 미국, 유럽 등의 해외 박물관이나 개인의 소장품으로 있다. 9번째로 확인된 이번 고려 나전경함은 일본 개인 소장가로부터 국립중앙박물관회가 구입한 것이다.

‘경함’이란 불교 경전을 보관하는 용도로 제작된 함이다. 1231년 몽고의 침략으로 고려에서는 나라의 평안을 기원하기 위해 대장경을 만들고 이에 따라 불교 경전을 보관하는 경함이 대량으로 제작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고려 원종 13년(1272)에 경함 제작을 담당하는 관청인 ‘전함조성도감’이 설치됐다는 <고려사>의 기록이 이 시기 나전경함의 대량 제작을 뒷받침하고 있다.

이번에 공개된 고려 나전경함은 높이 22.6cm, 가로 41.9cm, 세로 20㎝의 크기로 무게는 2.53kg이며 국립중앙박물관 측은 제작시기를 고려 후기일 것으로 추정했다. 이 나전경함은 뚜껑 윗부분의 각 모서리를 둥글게 처리(모죽임)한 장방형의 상자 형태로 나전경함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주 무늬는 모란당초무늬(牡丹唐草文)이며 부수적으로 마엽무늬(麻葉文), 귀갑무늬(龜甲文), 연주무늬(連珠文)가 사용됐다.

기법상으로는 얇게 갈아낸 자개를 일일이 무늬대로 오려낸 ‘줄음질’ 기법이 이용됐다. 마엽무늬와 귀갑무늬는 자개를 가늘게 잘라내어 무늬를 표현하는 ‘끊음질’ 기법도 나타나고 있다. 이는 조선시대 말기까지 계속 이어지는 나전칠기의 대표적 기법이다.

나전경함은 고려시대 공예 예술을 대표하는 나전칠기 유물이다. 나전칠기는 청자, 불화와 함께 고려 미술을 대표하는 공예품으로서 뛰어난 예술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국립중앙박물관은 “국외소재 우리 문화재의 환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요즘 국보급 고려 문화재가 영구히 국내로 들어와 국민들에게 전시를 통해 공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고 밝혔다.

[불교신문3028호/2014년7월23일자]

 

 

 

저작권자 © 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