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두의 사찰탐방 - ③ 가야사


불교대학 개설해 각종 강좌

어르신ㆍ어려운 이웃 돕기도

인재양성을 목적으로 가야사 주지를 맡은 정현스님은 처음 와서 ‘숲조성’에 힘썼다.

수행과 포교, 가람수호 그리고 지역사회발전에 기여하는 일. 이러한 여러 가지가 현대사회에서 갖는 사찰의 역할이다. 부산 가야산 가야사(부산진구 엄광로 326 나길 11)는 나름대로 제 역할을 충실히 해나가고 있는 절이다.

주지 정현스님은 15세에 출가하여 환갑을 넘긴 분이다. 은사 벽파스님(2006년 열반) 밑에서 ‘중노릇’을 짬지게 배우고 익혔다. 출가수행자의 길이 얼마나 크나큰 인연으로 맺어진 것이며 그 길을 가는 수행 또한 얼마나 험난한 것인지를 어릴 때부터 깊이 느끼며 살아왔다.

스님은 드러내기를 꺼린다. 그저 나름대로 자신의 길을 묵묵히 가면서 출가수행자가 할 일을 최선을 다해 해낸다. 스님이 이 절 주지로 온 지는 근 10년 된단다. 범어사 원주, 기장 장안사 주지를 거쳐 여기에 머물게 됐다고 한다. “절 살림은 소임자(직책을 맡은 사람)가 얼마만큼 자기 소임(所任)을 열심히 수행하느냐에 달려있다”는게 스님의 지론이다.

범어사 원주시절 스님은 종무소 앞 돌담과 돌계단을 절 비용이 아닌 사비(私費)로 조성했다. 왜 그랬느냐니까 그러는 게 당연하다고 여겼기에 그리 했단다. 절 여기저기 소소하게 손 볼 곳은 말없이 조용히 했다. 그 비용 또한 개인 주머니 돈이었다.

장안사 주지로 갈 때의 일화다. 도반 스님이 “스님이 법(法)이 높은교 아니면 모아놓은 돈이 많아 주지자리를 꿰찼는교?”했단다. 정현스님은 “내가 법이 높은 큰스님이라서 천년고찰인 장안사 주지를 맡을 인연을 만난 것이 아니라 범어사에서 열심히 소임을 다한 그 인연이라고 생각한다”고 했단다.

가야사에 와서 스님은 특유의 뚝심과 원력으로 많은 일을 하고 있다. 불교대학을 개설하여 기초교리강습, 경전연구반, 다도교실 등을 운영하고 있다. 경전연구반은 <우리말 능엄경>(야청(也靑) 황정원 풀어씀. 운주사 출판)을 교재로 공부한다. 황 교수(해양대 명예교수)는 자기와 교분이 깊은 정현스님이 주석하고 있는 이 절에서 매주 화요일 직접 강의한다. 그는 교수시절 해양대학교 불교학생회를 창립하여 학생들에게 능엄경을 강설했다.

‘숲이 짙어지면 호랑이가 깃들인다’는 말이 있다. 인재양성을 목적으로 이 절을 맡은 정현스님은 ‘숲조성’에 힘을 썼다. 도량을 중창하고 배움터를 만들었다. “여기는 절이 자리하기에는 주변 환경이 열악한 곳입니다. 그러나 부처님 후광을 믿고 원력을 갖고 불사를 하니 이루어집디다.” 대웅전, 요사채, 불교회관 등을 그 원력으로 일구었다.

절 입구에는 ‘벽파문화회관’이라 이름붙인 3층 건물이 있다. 스승을 기리고 스승의 뜻을 따르겠다는 원력의 소산이다. 이곳에서는 다도반 수업도 한다. 스님은 도예에도 깊은 안목이 있어 많은 찻사발을 수집, 진열해 놓았다. 이 찻사발들은 한국, 중국, 일본의 명품들이다.

이 회관은 또한 부산진시니어클럽회관이기도 하다. 스님은 지역사회발전을 위해서 주민과의 화합을 도모하여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시니어일자리 창출에 350명을 등록시켰고 개금종합복지관 1호 타이틀도 갖고 있다. 해마다 5월이면 경로잔치를 연지 8년째 된다. 모신 어르신만해도 1000명에 이른다. 겨울철 독거노인돕기, 김장담그기도 9년째다. 절 주차장도 인근 주민에게 개방하고 있다. “시주의 은혜를 뼈저리게 느끼고 한 푼의 시주금이라도 부처님 뜻에 따라 써야합니다.” 정현스님의 이 한마디가 긴 여운을 갖게 한다.

[불교신문3028호/2014년7월23일자]

 

 

 

저작권자 © 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