싯다르타

헤르만 헤세 지음 / 열림원

‘그를 둘러싼 세계가 녹아 없어지고, 마치 하늘에 떠 있는 별처럼 그가 혼자 서 있는 이 순간에, 추위에 떨고 겁을 잔뜩 먹은 이 순간에 싯다르타는 높이 솟아올랐다. 이전보다 더 많은 자의식이 더욱 튼튼하게 결속되었다. 그는 그렇게 느꼈다. 이것은 깨어나기 위한 마지막 전율이었다고. 태어나기 위한 마지막 진통이었다고. 그리고 그는 곧장 다시 걸어 나갔다.’

독일의 대문호 헤르만 헤세는 1922년에 발표한 장편소설 <싯다르타>에서 싯다르타가 ‘깨어남’을 얻는 순간 심정을 이같이 그렸다.

당시 마흔다섯살이었던 헤세는 <데미안> 발표 이후 극심한 우울감으로 정신상담까지 받는 시기에 이 소설을 구상하여 집필했다. ‘자기 자신에게로 가는 길’로 대표되는 <데미안>의 내면 탐구는 <싯다르타>에서도 이어진다.

헤세는 선교사 아버지 밑에서 자라나 신학교에 입학했던 자퇴했다. 유년기부터 기독교 문화를 접하며 살았다. 헤세의 외조부는 유명한 인도학자였고 그의 외사촌 빌헬름 군데르트 또한 동양학, 특히 중국과 일본의 불교에 정통한 학자였다.

헤세 자신의 사상서로 봐도 틀리지 않을 만큼 헤세는 소설 <싯다르타>에서 세상 속에서 인간이 맞닥뜨리는 무수한 고민을 풀어놓고 치열하게 그 답을 찾아 나선다.

소설은 브라만 청년 싯다르타와 친구 고빈다가 깨달음을 얻기 위해 걸어가는 다양한 구도의 길을 형상화한 작품이다. 소설의 묘미는 싯다르타와 고빈다의 만남과 헤어짐에 있다. 모든 것을 두고 목적지도 없이 길을 떠난 싯다르타의 마음 속에는 한가지 생각 뿐이었다.

죽음. 깨달은 자 고타마 앞에서 당당하게 ‘깨달음이라는 목적으로 제 스스로 이루거나 그렇지 않다면 죽고 싶을 뿐’이라고 선언했던 싯다르타는 결국 죽음이라는 길을 택한다.

<싯다르타>의 마지막 장은 ‘고빈다’이다. 평생 계율을 지키며 젊은 승려들의 존경을 한 몸에 받고 있으면서도 그의 마음은 여전히 불안하다. 그는 마지막으로 사람들 사이 현자로 추앙받고 있는 강가의 사공을 찾아 나선다. 그에게 단 하나라도 좋으니 가르침을 달라고 청한다.

그러나 고빈다는 끝내 사공으로부터 단 하나의 가르침도 듣지 못한다. 다만 사공이 된 싯다르타의 미소를 볼 뿐이다. 작품의 마지막 구절이다. ‘싯다르타의 미소는 고빈다로 하여금 그가 평생 사랑했던 모든 것들을, 일찍이 그의 삶에서 가치있고 성스럽다고 여겨졌던 그 모든 것들을 떠올리게 해주었다.’

이번 책은 열림원 주최 ‘헤르만 헤세 컬렉션’에서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에 이은 헤세의 두 번째 시리즈다.

[불교신문3025호/2014년7월12일자]

저작권자 © 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